사회조사분석사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핵심요약

에메랄드82 2020. 7. 9. 17:42
반응형

조사방법론 1.2

 

코호트조사

특정한 조건이나 특정한 사건을 동시에 경험한 집단에 대하여 향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태도나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조사.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

연역법

가설을 검증한다. 일반적인 사실로부터 출발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

귀납법

반복 관찰 한다. 여러가지 경험들을 결합하여 이론을 형성하는 방법

*연역법과 귀납법의 논리체계는 정반대이지만,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회과학적 조사의 목적

특정한 현상에 대한 기술이나 묘사, 미래에 대한 탐색이나 예측, 이미 발생한 사실에 대한 설명

 

인과관계 조사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변수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고 외생변수는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하나의 종속변수에 여러개의 독립변수가 영향을 미칠수 있고 실험조사나 유사실험조사로 수행한다.

 

질적조사

조사 결과에 대한 일반화를 하기 어렵고 조사 문제가 불명확한 경우에 사용한다.

조사 대상자가 적고 조사기긴도 짧다.

 

조사 진행 절차

조사협의- 조사준비- 자료수입- 자료정리- 추가분석- 보고서작성

 

변수의 종류

조절변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강하게 영향을 미치지만 불확정적이다.

매개변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영향을 미친다.

외생변수-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지만 원인변수로 설정되지 않는다.

억제변수- 변수간의 영향을 미치지만 인과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제3의 변수이다.

 

가설

간단명료, 동일 분야의 가설이나 이론과의 연관성, 계량화 가능, 연구문제에 대한 해결 가능 제시.

 

2차자료

설문지가 조사 목적에 부합해야하고 충분한 크기의 표본인지, 객관적인 절차를 거쳤는지를 검토한다.

 

관찰법

TV시청률, 바코드, 미스테리 쇼핑 등

 

인터넷 조사

조사 대상자가 인터넷 사용자 중심이기 때문에 편향 될 가능성이 있으나 비용이 적게 들고 면접에 대한 오류가 없으며 프로그램등을 활용할 수 있다.

 

우편조사

응답자에 대한 통제가 불가능하고 질문의 순서 효과나 모호한 응답에 대한 처리가 어렵다. 응답률도 낮다.

 

프로빙- 캐어묻기라고도 하며 응답자의 대답이 불충분하거나 부정확 할때 추가로 수행한다.

래더링- 응답자로부터 추출된 속성을 개인의 가치와 연결한다. (속성-가치의 계층적 연결)

소팅- 자료를 순서대로 나열한다.

펀칭- 조사된 자료를 분석의 형태로 입력한다.

 

이분식 질문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질문 방법으로 객관식 질문의 극단적인 형태, 정보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편기가 발생할 수 있다.

 

질문지 작성 유의 사항

응답자가 쉽게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

모호한 단어는 사용을 자제하고 친숙한 용어를 사용한다.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해 완충항목을 사용할 수 있고, 상황에 맞추어 긍정과 부정을 번갈아 사용한다.

응답자의 관심을 끄는 항목은 서두로 응답하기 난처하거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는 질문은 중간에 일반 사항이나 브랜드 노출은 뒷부분에 배치 한다.

 

자료의 코딩

분석이 용이하도록 숫자로 입력, 결측지는 0이나 9로 처리, 가장 큰 수치를 고려하여 칸 배정, 유사한 응답 범주에 대해서는 고정된 코드값을 부여.

 

군집표본추출법

유사한 특성을 가진 집단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그 안에 속한 모든 조사 대상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할당표본추출법

각 집단 별로 정해진 크기의 표본을 계층화하여 추출한다. (예: 소비자조사)

 

추정치

표본평균은 모평균, 모분산, 일치하며 불편추정치라 한다.  분산이 가장 적을 경우 효율적이고 표본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모수와 가따워진다.

 

단순무작위추출법

모집단에 대한 정보가 없고 모집단의 크기가 작으며 모집단의 명부는 확정적일 때

 

표본조사의 오류

오류는 반드시 발생, 표본의 크기가 크면 표본추출 오류는 감소하나 비표본추출오류(누락, 오기, 오류)는 증가

 

신뢰구간

정규분포를 따르는 표준평균을 표준정규변수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90%= ± 1.645 , 95%= ± 1.96 , 99%- ± 2.575

정규분포표의 넓이

신뢰수준이 높아지면 길이도 길어진다.

 

순수실험설계

실험의 비용이 많이 들고 비현실적이고 인위적이다.

 

성숙

실험기간 중 조사대상자의 심리적 인구통계적 특성이 자연적으로 변화하면서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

 

외적타당성= 일반화

 

신뢰성

측정도구의 모호성 제거, 조사 대상자가 모르거나 관심 없는 내용은 측정하지 않아야 함, 측정 항목을 늘림.

 

명목척도-최빈값, 서열척도-중앙값, 등간척도-평균, 비율척도-평균 외 모든 값

 

스타펠 척도

10점 척도를 기본으로 의미차별화 척도와 비슷하지만 하나의 표현을 사용한다. 척도의 중간점이 없고 적용범위가 적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