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분석사

사회조사분석사2급 필기 기출요약 사회통계

에메랄드82 2020. 6. 8. 14:11
반응형

특정 제품의 단위 면적당 결점의 수 또는 단위 시간당 사건 발생수에 대한 확률분포로 적합한 분포는?

포아송분포

(단위당 사건 발생 수를 분석하는데 적합한 확률분포는 포아송분포이다)

 

모집단의 표준편차의 값이 상대적으로 작을 때에 표본평균 값의 대표성에 대한 해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대표성이 크다.

(모집단의 편차가 적으므로 표본평균의 대표성은 커진다)

 

X와Y의 두변량을 얻은 자료를 그린 산점도에서 선형관계가 없는 경우?

X와Y의 표본 상관계수의 절댓값이 작다.

 

6면 주사위의 각 눈이 나타날 확률이 동일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사위를 60번 던진 결과가 다음과 같다. 다은 설명에 대한 것?

1                          2                    3                         4                     5                          6
관측도 수 10                        12                   10                       8                      10                        10

카이제곱 검정통계량 값은 0.8이다

귀무가설은 "각 눈이 나올 확률은 1/6이다" 이다

귀무가설 하에서 각 눈이 나올 기대도수는 10이다.

(가정한 확률분포가 사실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 적합성 검정을 이용한다.)

 

다음은 가전제품 서비스센터에서 어느 특정한 날 하루 동안 신청 받은 애프터서비스 건수이다. 자료에 대한 설명은?

[9   10    4   16    6   13   12]

범위는 12이다.

편차들의 총합은 0이다.

평균과 중앙값은 10으로 동일하다.

(완전한 좌우대칭 분포가 아니므로 왜도는 0이 아니다.)

 

평균이 μ이고 표준편차가 σ인 정규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관측할 때, 관측값이 μ+2σ와  μ-2σ 사이에 존재할 확률은 약 몇%인가?

95%

(정규분포에서 평균+-2X표준편차 범위 안에 관측값이 존재할 확률은 95%이다.

 

3개의 처리를 각각 5번씩 반복하여 실험하였고 이에 대해 분산분석을 실시하고자 할 때의 설명?

분산분석표에서 오차의 자유도는 12이다.

분산분석의 영가설은 3개의 처리 간 평균이 모두 동일하다고 설정한다.

유의수준 0.05하에서 계산된 F-비 갑은 F(0.05,2,12)분포값과 비교하여, 영가설의 기각 여부를 결정한다.

처리 평균제곱은 처리 제곱합을 처리 자유도로 나눈 것을 말한다.

 

경영학과, 컴퓨터정보학과에서 15점 만점인 중간고사 결과를 가지고 두 학과 평균의 차이에 대한 95% 신뢰구간은?

  경영학과 컴퓨터정보학과
표본크기 36 49
표본평균 9.26 9.41
표준편차 0.75 0.86

표본의 크기가 각각 30이상으로 대표본이므로 정규분포를 이용 신뢰구간을 구하고 95%신뢰수준의 정규분포 신뢰계수는 ±1.96이며, 표분편차는 각각의 분산을 표본의 크기로 나눈 수치를 더한 값의 제곱근으로 도출

 

대기오염에 따른 신체발육정도가 서로 다른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기오염상태가 서로 다른 4개 도시에서 각각 10명씩 어린이들의 키를 조사하였다. 분산분석의 결과표를 가지고 설명?

  제곱합SS 자유도df 평균제곱합MS F
처리B 2100 a(3) b(700) f=(9.0)
오차W c(2800) d(36) e(77.78)
총합T 4900 g(39)    

a= (4-1)=3

b=2100/3=700

c=4900-2100=2800

d=10X4-4=36

e=2800/36=77.78

f=700/77.78=9.0

g=3+36=39

 

회귀분석에 대한 설명?

회귀분석에서 t-검정과 F-검정이 모두 사용된다.

(회귀분석의 적합도 검정에는 분산분석표가 사용되며 독립변수는 질적인 변수가 가능하다. 독립변수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어야 한다는 가정이 필요하지만 독립변수간에 상관관계가 0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검정통계량의 분포가 정규분포인 검정?

대표본에서 모평균의 검정, 대표본에서 두 모비율의 차에 관한 검정, 모집단이 정규분포인 소표본에서 모분산을 알때, 모평균의 검정.

(모집단이 정규분포일 때 모분산의 검정은 카이제곱 검정으로 실시)

 

일원분산분석을 통하여 세가지 공법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고자 할때, 처리제곱합의 자유도는?

2

(3-1=2)

 

 

반응형